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리또속이라는 별명을 가진 리플(Ripple, XRP)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명칭을 정확히 하자면 리플(Ripple)은 회사 및 네트워크 이름이고 XRP(리플)은 코인을 뜻합니다.
1. 리플의 개요 및 역사
< 리플의 로고 >
최초발행 |
2012.06 |
총 발행한도 | 100,000,000,000개 |
시가총액 | 25.5조원(2023.02 기준) |
현재 유통량 | 50,803,611,248개(2023.02 기준) |
홈페이지 | |
트위터 |
리플은 전 세계 여러 은행들이 실시간으로 자금을 송금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겸 암호화폐로 2012년 크리스 라슨과 제드 맥케일럽이 C++ 언어로
공동개발하였습니다. 타원곡선 디지털서명 알고리즘(ECDSA)을 사용하며, 채굴없이 합의에 의해 운영됩니다.
2. 리플의 특징
1) 빠른 결제 속도
다른 화폐보다 국제 결제 속도가 빠르다는 점이 리플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
리플의 결제 속도는 약 4초로 다른 주요코인들과 비교해 굉장히 빠른 속도를 자랑합니다.
참고로 비트코인의 결제속도는 약 3600초, 라이트코인은 약 600초, 이더리움은 약 120초입니다.
2) 뛰어난 확장성
리플은 초당 1500개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비자(Visa)와 동일한 거래량인 초당 약 65000건 이상의 트랜잭션을 처리하도록 확장 할 수 있습니다.
3) 높은 신뢰도와 안전성
전 세계 150개 이상의 검증인으로 구성된 분산형 네트워크에 의해 실행되어, 신뢰도가 높습니다.
또한 리플의 안정적인 기술과 거버넌스에 대한 7년간의 기록으로 기관 및 기업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되었습니다.
5) 환경친화적
리플은 작업증명(PoW) 방식인 채굴로 얻어지는 비트코인과 달리 채굴형이 아닌 발행형 토큰이므로
채굴에 소요되는 에너지 소비가 없어 환경친화적 암호화폐 입니다.
또한 수수료가 채굴자에게 가는 일반적인 화폐와 달리
수수료만큼 총량이 그대로 줄어들어 모두의 이익(가치 향상)으로 귀속되는 최초의 암호화폐입니다.
3. 리플의 미래
아직까지도 리플은 2년째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이하 SEC)와 약 13억달러(약 1조7천억) 규모의 미등록 증권(XRP)을 발행해
이익을 챙겼다는 혐의로 소송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송에 휘말리면서 리플은 코인베이스 등 일부 거래소에서 상장폐지가 되면서 가격이 폭락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기사들에 따르면 이 소송은 곧 마무리될 예정이며, 리플의 승소가 예상된다는 기사도 많습니다.
만약 승소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빠른 결제와 높은 확장성, 안정성을 바탕으로 더욱 발전시켜 나간다면 리플이 예전의 영광을 찾을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리플이 리또속이라는 오명을 벗는, 다시 한번 지폐가 되는 날을 기다리며, 이번 시간을 마치겠습니다.
모두 성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