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작업증명(PoW)과 지분증명(Po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상당히 난해할 수 있는 개념으로 최대한 쉽게 필요한 내용만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작업증명(Proof of Work, PoW)란 사토시 나카모토에 의해서 처음 알려진 블록체인 최초의 증명 방식으로,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해시값을 찾는 작업을 특정한 난이도에 수행하고 이를 증명하는 것으로, 이 증명을 채굴(mining)이라고 부릅니다.
쉽게 말하면 채굴 가능한 코인입니다. 대표적으로 비트코인, 도지코인, 이더리움 클래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작업증명 코인들은 채굴에 상당한 전력을 소모하여 환경문제을 유발한다는 큰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 이더리움이 이러한 환경문제로 인하여 PoW 방식에서 PoS 방식으로 전환하였죠.
반면에 지분증명(Proof of Stake, PoS)란 채굴하여 코인을 얻는 PoW 방식 코인들과 달리 보유하고 있는 코인을 스테이킹을 한 지분율에 비례하여
의사결정 권한을 주고, 스테이킹한 코인을 검증에 이용하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코인을 얻을 수 있습니다. 채굴이 필요없는 것이죠.
따라서 작업증명이 가지고 있는 과도한 전력소모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51% 이상의 지분을 가진 노드가 공격을 목적으로
거짓으로 지분을 증명할 수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 작업증명도 51%의 컴퓨팅 파워를 가진 채굴업체가 있다면 거짓으로 지분을 증명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51%의 지분소유가 아닌
51%의 컴퓨팅 파워를 가지는 것은 PoS에 비해서 훨씬 더 어렵습니다.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 합니다.
구 분 | 작업증명(PoW) | 지분증명(PoS) |
보 상 |
얼마나 많이 채굴에 참여했는지에 따라 보상 |
얼마나 많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따라 보상 |
초 기 투입비용 |
채굴에 사용될 하드웨어를 구입하는 비용 | 지분(코인)을 구입하는 것 |
특 징 | 해커가 악의적인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51% 이상의 컴퓨팅 파워를 확보해야 함 | 해커가 악의적인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51%이상의 지분을 확보해야 함 |
전력소모 | 비효율적 | 효율적 |
가상화폐 | 비트코인, 도지코인, 이더리움 클래식 등 | 이더리움, 에이다, 폴카닷 등 |
< 작업증명과 지분증명의 차이>
지금까지 작업증명과 지분증명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지분증명은 작업증명의 단점을 보완한 대안으로 나온 방식입니다. 하지만 서로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둘중에 누가 우월하다고 딱잘라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이 두가지 방식이외에도 위임지분증명(DPoS), 역사증명(PoH) 방식 등 새로운 방식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아직 역사가 짧은 가상화폐 시장이기에 앞으로 어떠한 증명방식이 나와서 대세가 될지, 그리고 우리를 놀라게 할지 기대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요즘에 뜨고 있는 솔라나 코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참고로 솔라나는 역사증명(Proof of History, PoH)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