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은 카르다노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인 시가총액 5위(테더 제외, 2023년 1월 기준)의 에이다(ADA)입니다.
전 이더리움 경영진이었던 찰스 호스킨스에 의해서 설립된 IOHK(InputOuputHK)에서 개발한 2017년 10월 1일에 최초 발행된 코인입니다.
* 그냥 쉽게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명칭을 정확히 구분짓자면 카르다노(Cardano)는 플랫폼의 이름이며, 여기에 사용되는 코인이 에이다(ADA)입니다.
이더리움 역시 플랫폼 이름이며, 여기에 사용되는 코인이 이더(Ether)입니다. 그런데 보통 코인을 이더리움이라고 부르곤 하죠.
[ 카르다노 재단과 에이다 ]
< 개 요 >
최초발행 | 2017년 10월 |
총 발행한도 | 45,000,000,000(450억개) |
시가총액 | 13.3조원(2023.01 기준) |
현재 유통량 | 34,518,639,817(345억개)(2023.01 기준) |
홈페이지 |
https://cardano.org/ |
트위터 |
https://twitter.com/cardano |
카르다노는 이더리움처럼 가상화폐 플랫폼이며 제대로 된 신원인증 시스템이 없어 금융 시스템이 낙후된 개발도상국 등에 존재하는 30억명 이상의
사람들을 타겟팅으로 하는 금융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입니다.
에이다는 카르다노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가상화폐이며, 1세대인 비트코인, 2세대인 이더리움을 넘어서는 확장성, 상호운용성, 지속가능성을 가진
제3세대 코인으로 불리웁니다.
[ 코인 세대별 구분 ]
< 개발 로드맵 >
카르다노의 개발 단계는 크게 바이런(Byron) - 쉘리(Shelley) - 고겐(Goguen) - 바쇼(Basho) - 볼테르(Voltaire)의 5단계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카르다노 재단에서 단계별로 이름을 지어 나눠놓은 것 뿐입니다....)
2023년 현재는 로드맵상 고겐까지 완료한 상태로 고겐에서 드디어 스마트 컨트랙트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스마트 컨트랙트란 카르다노 플랫폼에서 돌아가는 일종의 앱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카르다노 생태계의 확장을 위해서는 필수요소라 할수 있죠.)
따라서 카르다노 플랫폼에서 Dapp(분산형 앱, 댑, 디앱 이라고 불림)을 개발 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드디어 진정한 암호화폐 플랫폼이 된거죠.
< 하드포크 >
에이다는 23년 1월 현재 2번의 하드포크를 거쳤습니다. 여기서 하드포크란 쉽게 설명하자면 메이저 업그레이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2021년 9월 12일에 완료된 알론조 하드포크, 이 하드포크로 인하여 카르다노에도 이더리움과 같은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그리고 2022년 9월 27일에 완료된 바실 하드포크, 이로 인해서 카르다노 플랫폼의 속도가 빨라지고 확장성이 증대되었습니다.
참고로 기대심리로 인해서 하드포크 전후로 시세의 변동이 큰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정을 참고해서 매매에 이용하시면 좋습니다.
지금까지 시총 5위의 코인인 카르다노, 에이다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사실 플랫폼 코인 순위는 3위입니다. 플랫폼 코인 순위를 보자면 아래표에서 볼수 있듯이 1위가 이더리움이며,
후발주자 였던 바이낸스 플랫폼이 에이다를 앞질러 2위에 마크되어 있습니다.(사실 좀 아쉽습니다... 3위로 밀렸다는게.. 게다가 시총 차이도 크네요.)
순위 | 코인명 | 시가총액 |
1 | 이더리움 | 202조 |
2 | 바이낸스 코인 | 55조 |
3 | 에이다 | 13.3조 |
4 | 솔라나 | 7.3조 |
5 | 폴카닷 | 7.0조 |
6 | 트론 | 6.3조 |
6 | 이오스 | 1.3조 |
< 플랫폼 코인 순위(2023년 1월 기준) >
에이다가 바이낸스 코인, 그리고 나아가서 이더리움을 앞서는 플랫폼 분야 최고의 코인 자리를 차지하는 날을 기대하며 이만 마칩니다.
모두 성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