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차트와 지식을 공유하는 곳!

CHARTKING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선물거래에 있어서 현물과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는 레버리지와 청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레버지리 : 지렛대 사용, 지렛대의 힘이라는 사전적 의미로 타인의 자본을 지렛대처럼 이용하여 자기 자본의 이익률을 높이는 것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먼저 이 두가지를 이해하려면 흔히들 롱, 숏이라고 불리는 공매수, 공매도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먼저 공매수(롱)입니다. 저는 비트코인이 상승할 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현재 비트코인 시세는 100만원이고, 제 자금은 100만원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상승할 것이라는 확신이 있어서 500만원 정도를 매수하고 싶습니다. 이에 저는 거래소에게 400만원을 빌려 500만원어치 비트코인(비트코인 5)

 

매수했습니다. 그리고 제 예상대로 비트코인 가격은 올랐고 매수했던 비트코인 5개를 200만원일 때 매도했습니다. 그럼 거래소에서 빌린 400만원과 약간의 수수료를

 

주면 약 600만원정도의 현금이 남습니다. 100만원으로 600만원, 600%의 엄청난 수익을 얻게 된 것입니다.

 

이것을 공매수, 코인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롱(Long)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만약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했던 비트코인이 상승하지 않고 떨어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매수한 500만원어치 비트코인, 즉 개당 100만원이었던 비트코인 가격이 급락해서 80만원이 된다면 보유한 비트코인 5개의 총 금액은 400만원이 됩니다. 

 

앞에서 400만원을 거래소에서 빌렸죠? 이때 바로 청산이라는 단어가 사용됩니다. 절대 손해보지 않는 거래소는 빌려준 400만원을 바로 가져가고 우리는

 

포지션 청산이 됩니다. 즉, 거래소에서 빌린 400만원만 남게 되면 롱 포지션은 청산됩니다. 청산되면 아무리 가격이 떨어져도 0원은 되지 않는 현물과 달리

 

우리의 돈 100만원은 0원이 되는 것입니다.

 

다음은 공매도(숏) 입니다. 저는 비트코인이 하락할 것이다라고 예상하고 있고, 자금은 100만원을 가지고 있다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현재 비트코인 시세가 1개에 100만원이라고 하면, 저는 거래소에 이렇게 요구합니다. "비트코인 1개만 빌려주면 나중에 비트코인 1개에 수수료를 얹어 그대로

 

돌려줄게"라고 말입니다. 거래소는 승낙하고 저는 빌린 비트코인 1개와 100만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이때 비트코인을 바로 매도하고, 200만원의 현금을

 

보유하게 됩니다. 예상대로 비트코인 가격이 급락해서 50만원이 되었습니다. 저는 이때 빌렸단 비트코인 1개를 거래소에 돌려줍니다. 그때 비트코인 1개만 돌려주면

 

되므로 급락한 비트코인 1개의 시세인 50만원만 돌려주면 되는 꼴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제 자금은 150만원이 되는 것이죠.

 

물론 비트코인이 예상과 다르게 상승하면 0원이 될수 있는, 즉 청산당할수 있는 리스크는 동일합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롱은 가격이 상승한다에 베팅하는 것이고, 숏은 가격이 하락한다에 베팅하는 것입니다.

 

이때 공매수, 공매도를 할 때 거래소에서 빌린돈의 양이 바로 레버리지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원으로 레버리지를 10배 써서 공매수하면 1000만원어치를 매수한 것과 동일하게 됩니다.

 

10%만 하락해도 자금이 0원이 되어 청산되지만, 10%만 상승하게되면 자금이 200만원이 됩니다.

 

선물거래로 가장 많이 쓰이는 바이낸스에서는 레버리지를 125배까지 사용가능합니다.(보통 다른 거래소도 100배까지는 가능합니다)

 

앞서 설명한대로 선물은 청산당할 리스크도 크지만 레버리지를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자본으로 큰 돈을 벌수 있습니다. 즉 리턴도 크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죠.

 

선물거래를 할 때 추천드리는 것은 칼같은 익절, 손절타이밍입니다. 자신만의 기준을 세우고 그 기준가에 도달했을 때 뒤도 돌아보지 말고 익절 또는 손절하는 것입니다.

 

자신만의 기준을 세우고, 이를 기반으로 매매를 한다면 큰 이익을 얻을수 있는 것이 바로 선물거래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펀딩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부자되시길 바라며 오늘은 이만 마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코인이야기, 일상 이야기, 수다, 잡담 등 자유로운 글을 올려주세요. 운영자 2022.10.31 4385
95 [코인 파헤치기] 7. 에이다 file 차티스트 2023.01.12 2520
94 [코인 파헤치기] 6. 도지코인 file 차티스트 2023.01.09 2533
93 [코인 파헤치기] 5. 스테이킹이란? 차티스트 2023.01.08 254
92 [코인 파헤치기] 4. 탈중앙화란? file 차티스트 2023.01.06 254
91 [코인 파헤치기] 3. 블록체인이란? file 차티스트 2023.01.03 267
90 [코인 파헤치기] 2. 이더리움 차티스트 2023.01.02 249
89 [코인 파헤치기] 1. 비트코인 차티스트 2023.01.01 264
88 [잡설] 선물거래 - 3. 펀딩비(Funding Fee) file 차티스트 2022.12.28 259
87 이니셜D-포터86.gif ㄷㄷㄷㄷ file 뽐뿌에서왔습니다 2022.12.28 524
» [잡설] 선물거래 - 2. 레버리지와 청산 차티스트 2022.12.27 254
85 [잡설] 선물거래 - 1. 선물거래의 기본 file 차티스트 2022.12.20 242
84 [강좌] 엘리어트 파동이론(2편) file 차티스트 2022.12.19 387
83 이번주 주요일정(12.19 ~ 12.23) [1] 쿨가이 2022.12.19 292
82 [강좌] 엘리어트 파동이론(1편) file 차티스트 2022.12.17 251
81 오늘자 FOMC + 파월 연설 요약 [1] file 뽐뿌에서왔습니다 2022.12.15 804
80 [잡설] 싼타랠리? 그게 뭐죠? 올해도 오나요? [1] file 쿨가이 2022.12.14 290
79 미국 CPI 7.1%! 비트 가즈아!!!! 뽐뿌에서왔습니다 2022.12.13 505
78 [강좌]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기술적 분석법 : 다우이론 file 차티스트 2022.12.13 324
77 이번주 주요일정(12.12 ~ 12.16) [1] 쿨가이 2022.12.12 281
76 미성년자 주식 보유 순위ㄷㄷㄷ.jpg [1] file 쿨가이 2022.12.12 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