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현물과 선물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흔히 주식이나 가상화폐 시장에서 선물, 현물 이야기를 하는 것을 자주 볼수 있습니다.
오징어 게임에도 나오죠? 선물하다가 큰 빚을 졌다고 하니 이정재가 대체 무슨 선물을 누구한테 했길래 그렇게 큰 빚을 졌냐고 놀라는 장면이요.
한자어를 같이 쓰면서 모르는 사람들은 동음이의어인 선물(Gift)와 선물(Futures)을 혼동하는 경우가 생기는 거죠.
영어로 보면 완전히 다른데 말이죠.
그렇다면 영어로 Futures, 즉 미래라는 단어를 쓰는 선물은 무엇일까요?
사전적 의미를 보면 파생상품의 한 종류로 선매후물(선매매, 후물건 인수도)의 거래방식을 말합니다. 즉,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 일정 시점에 인도, 인수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라고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농부와 농산물 수집상 아저씨가 있습니다.
농부는 이제 몇달 후 배추 수확을 시작해야 하는데 이만저만 걱정이 아닙니다. 올해는 배추 값이 한포기당 100원으로 폭락할 것만 같습니다.
반면에 농산물 소매상 아저씨는 이제 몇 달 후면 수확 철인데 올해는 왠지 배추값이 폭등해서 한포기에 10000원까지 뛰어 오를것 같아 걱정입니다.
가을이 올때 까지 농부아저씨와 농산물 수집상 아저씨는 불안감으로 긴밤 지새우며 고민만 해야할까요? 방법이 없는 것일까요?
방법은 있습니다. 농부아저씨와 농산물 수집상 아저씨가 미리 계약을 하는 것입니다. 이게 바로 선물거래를 하는 것입니다. 올해 가을에 배추 값이 어떻게
되든지 무조건 5000원에 사고 팔기로 계약을 하는 것입니다. 설사 배추 값이 승천해서 하늘로 치솟든, 저 깊은 나락으로 추락을 하든 무조건 5000원에 사고 팔기로
미리 계약을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미리 계약을 하면 농부는 '혹시나 배추 값이 폭락하면 어쩌나'하는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고, 농산물 수집상 아저씨도 '배추 값이 폭등하면 어쩌나'하는
염려 따위는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가을에 배추 값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둘중에 하나는 손해를 볼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배추값이 1만원으로 폭등을 했다고 해봅시다.
그렇게 되면 농부아저씨 입장에서는 더 비싸게 팔수 있는데 싸게 팔아서 손해를 입게됩니다. 반면에 농산물 수집상 아저씨는 1만원에 사야하는 배추를 5천원에
샀으므로 이익을 얻게 됩니다.
만약 배추값이 폭락하게 되면 농산물 수집상 아저씨가 손해를 보겠죠?
이게 바로 선물거래입니다.
실제로 가상화폐 선물거래소를 운영하는 해외거래소인 바이낸스, 비트맥스, 비트겟 등의 차트를 보면 현물과 선물의 가격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가격차이는 시장상황에 따라서 변화합니다.
먼저 선물이 현물 가격 대비 프리미엄이 붙어서 거래되고 있는 경우를 콘탱고(Contango)라고 합니다.
반면에 현물가격이 선물가격보다 높은 경우를 백워데이션(Backwardation)이라고 합니다.
보통 정상적인 시장에서는 콘탱고, 즉 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높은게 일반적입니다. 시장 상황이 나쁜 경우에 백워데이션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현물과 선물의 가격차이 >
위 그림은 현물과 선물을 동시간에 캡쳐한 것입니다. 좌측이 비트코인 현물(16811달러), 우측이 선물(16802달러)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가격차이가 존재하죠?
현물의 가격이 더 높은 상태, 즉 백워데이션 상태입니다. 요즘 시장상황이 좋지 않다보니 백워데이션이 발생하는 군요.
(물론 가격차이가 아주 적어서 백워데이션이라고 말하기도 애매하긴합니다...)
지금까지 선물거래의 기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선물거래에만 존재하는 레버리지, 그리고 무시무시한 청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성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