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차트와 지식을 공유하는 곳!

CHARTKING

[강좌] 엘리어트 파동이론(1편)

차티스트 2022.12.17 21:35 조회 수 : 251

안녕하세요

 

오늘은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이하 파동이론)은 앞서 배운 다우이론의 보충적 설명이라고 불리우며 다우이론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파동이론에서는 가격 움직임을 다우 이론의 조류, 파도, 잔물결과 같이 밀물과 썰물로 인식하였고, 다우이론의 3단계 상승과 마찬가지로

 

엘리어트 파동은 5파로 이루어진 3단계 상승을 제시하는 등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파동이론은 다우이론에서보다 정점과 저점의 신호를 먼저 제시하고 있고, 조정국면에서 조정정도를 예상 할 수 있습니다. 엘리어트 이후 발전된 것이지만

 

파동별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상승 단계별로 특징을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 엘리어트 파동의 3가지 측면 ]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패턴, 비율, 시간의 세 가지 요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패턴은 상승 5파와 하락 3파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 다음으로 피보나치 수열을

 

이요해 조정의 폭과 목표가격을 예측하는 데 필요한 비율 분석과 시간은 패턴이나 비율보다 중요성이 떨어지지만 패턴 분석과 비율 분석이 정확한지를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상승장에서와 하락장에서 모두 적용된다.

 

 

[ 패턴 분석 ]

 

1) 패턴의 기본 형태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하나의 순환에 상승 5파와 하락 3파, 즉 8개의 파동으로 이루어집니다.

 

패턴 방향이 상승일 때 상승파동은 1,2,3,4,5파의 5개의 파동으로 구성되는데 추세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1파, 3파, 5파는 추진파라고 하며

 

추세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2파, 4파를 조정파라고 합니다. 5파 까지의 상승이 마무리된 후 상승 파동 전체를 조정하는 3개의 파동으로 이어지며

 

이는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A, B, C 파입니다.

 

또한 엘리어트 파동에 있어서 일반적인 되돌림 비율은 이전파의 38.2%이며, 상승 비율은 이전 상승파의 1.618배 입니다.

 

elliet.png

                                                                 <엘리어트 파동 및 파동의 조정비율>

 

 

2) 파동의 구분

 

앞서 말한 것처럼 엘리어트 파동은 추진파 5파, 조정파 3파로 이루어진 8개의 파동으로 세분화되어 집니다. 이는 다시 34개, 144개...의 파동으로 세분화 할 수

 

있으며 이 개수는 피보나치 수열에 따른 것입니다. 즉 짧은 엘리어트 파동의 한 싸이클이 모여 하나의 긴 엘리어트 파동의 한 파동을 이루고, 또 이 파동이 모여서 하나의

 

긴 엘리어트 파동의 한 싸이클을 만드는 것입니다.

 

 

3) 각 파동의 특징

 

① 1파 : 1파의 절반 정도는 바닥권의 일부인 것으로 보여 하락 후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반등에 지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5파 중 가장 짧게 나타나지만 특히 대세 바닥이 형성된 이후 때로는 역동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한편 약세시장에서의 1파는 단기 매매를 포함하여

             대량의 거래량을 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체적인 추세가 하락세로 전환된다는 것을 투자자들이 확신할 수 있습니다

 

2파 : 2파는 보통 1파와 거의 같은 크기의 조정파입니다. 지금까지의 상승 움직임을 되돌려 다시 원래의 시작점 근처로 가져다 놓습니다.

             2파 저점이 1파 저점보다 높이 형성되면 2중 바닥형 또는 역머리어깨형과 같은 전통적인 차트 패턴 형성되기도 합니다.

 

3파 : 보통 3파는 가장 길고 힘찹니다. 보통 거래량은 최대가 되고 장대양봉도 자주 발생합니다. 또 파동이 확장될 가능성이 높지만 가장 짧은 수는 없습니다.

             3파는 파동이 연장됨에 따라 b파의 특성과 더불어 파동을 세는 데 가장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합니다.

 

4파 : 4파는 2파와 같이 조정파이지만 2파와는 달리 복잡한 경우가 많습니다. 삼각형 모양이 자주 나타나는데 단 4파의 저점은 1파의 고점보다도 위에 형성되어야

             합니다.


5파 : 보통 5파는 3파보다 약하나 가장 길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연장되기도 합니다. 여러가지 하락을 경고하는 신호들이 출현합니다.

 

a파 : 상승 5파 중 하나와 비슷하게 보여 혼동을 주기도 하지만 순환상 여러가지 하락신호가 발생하므로 거래량에 주목해야 합니다. 항상은 아니지만 가격 하락시에

             거래량이 증가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b파 : 하락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시적 반등이며 보유 주식을 매도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거래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반등의 형태에 따라서는

             전고점까지 반등하거나 전고점을 상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c파 : c파가 출현하면 상승추세가 유지될지도 모른다는 기대가 사라지게 됩니다. c파의 저점은 조정의 형태에 따라 a파의 저점보다 낮아지거나 같거나 높기도 합니다.

            c파는 a파의 저점보다 하락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럴 경우 다우이론의 매도신호가 나타나는 셈이며 4파와 파의 저점을 연결하면 머리어깨형이 됩니다.

 

 

4) 추진파의 확장과 변형

 

상승 추세나 하락 추세에서 추진파의 기본 형태는 5파로 이루어지지만 추진파인 1파 3파 5파가 다시 작은 상승 5파로 구성되어 전체 파동이 확장된 형태를 갖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추진파의 확장과 변형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추진파만이 확장되며 확장되지 않은 다른 두 개의 추친파는 시간과 규모 면에서 비슷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래 그림들 처럼 각 추진파는 여러 작은 파동으로 확장되기도 합니다.

 

1expand.png3expand.png5expand.png

< (순서대로) 1파, 3파, 5파의 확장 >

 

 

5) 조정파동

 

조정파동은 충격파동보다 더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또한 조정파동은 평처지는 상황에 따라 조정의 정도를 복잡하게 늘리거나 줄이거나 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조정

 

패턴의 연구로부터 이끌어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법칙은 조정은 결코 5개의 파동이 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오직 충격파동만 5개의 파동이 될 수 있으며, 조정파동은

 

3개의 파동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조정파의 형태에는 지그재그형, 플랫형, 삼각형, 2중 3중 3파형 등이 있습니다.

 

조정파.png

                                                           < 조정파동의 형태 >

 

* 지그재그형 : 위 그림에서 보듯이 5-3-5파로 이어져 주추세에 반대로 움직입니다.

 

* 플랫형 : 밀집국면에 가까운 모양으로 그만큼 상승세나 하락세가 강할 때 나타납니다. 

 

* 불규칙형 : 플랫파의 변형으로 추세 방향의 가격 움직임 강약에 따라 생기는 형태입니다. 불규칙형은 보통 두 가지로 나뉘어지는데 b파의 끝점이 a파의 시작점을 돌파하고 c파도 a파의 끝난점을 돌파하는 경우(가격 변동이 심한 경우)와 b파가 a파의 시작점을 돌파하는데 c파가 a파의 끝점을 돌파하지 못하는 경우(추세 방향의 시장 움직임이 아주 강할때 나타남)로 나뉘어 집니다.

 

* 삼각형 : 보통 4파에서 일어나며 이후 주추세의 마지막 파가 이어지게 됩니다. 또 a-b-c-파의 b파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수요 공급이 어느정도 균형을 이루어 급락이나 급등이 없는 경우입니다. 삼각형은 강세로도 약세로도 받아들여지는데 예를 들면 상승 추세에서 삼각형은 이후 상승 추세가 지속된다는 면에서는 강세인 동시에, 한번 더 파동이 진행된 후 가격이 정점이 된다는 점에서 약세로 받아들여지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엘리어트 파동의 기본적인 형태를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엘리어트 파동의 구분방법, 그리고 매매전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럼 성투하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코인이야기, 일상 이야기, 수다, 잡담 등 자유로운 글을 올려주세요. 운영자 2022.10.31 4385
95 [코인 파헤치기] 7. 에이다 file 차티스트 2023.01.12 2520
94 [코인 파헤치기] 6. 도지코인 file 차티스트 2023.01.09 2533
93 [코인 파헤치기] 5. 스테이킹이란? 차티스트 2023.01.08 254
92 [코인 파헤치기] 4. 탈중앙화란? file 차티스트 2023.01.06 254
91 [코인 파헤치기] 3. 블록체인이란? file 차티스트 2023.01.03 267
90 [코인 파헤치기] 2. 이더리움 차티스트 2023.01.02 249
89 [코인 파헤치기] 1. 비트코인 차티스트 2023.01.01 264
88 [잡설] 선물거래 - 3. 펀딩비(Funding Fee) file 차티스트 2022.12.28 259
87 이니셜D-포터86.gif ㄷㄷㄷㄷ file 뽐뿌에서왔습니다 2022.12.28 524
86 [잡설] 선물거래 - 2. 레버리지와 청산 차티스트 2022.12.27 254
85 [잡설] 선물거래 - 1. 선물거래의 기본 file 차티스트 2022.12.20 242
84 [강좌] 엘리어트 파동이론(2편) file 차티스트 2022.12.19 387
83 이번주 주요일정(12.19 ~ 12.23) [1] 쿨가이 2022.12.19 292
» [강좌] 엘리어트 파동이론(1편) file 차티스트 2022.12.17 251
81 오늘자 FOMC + 파월 연설 요약 [1] file 뽐뿌에서왔습니다 2022.12.15 804
80 [잡설] 싼타랠리? 그게 뭐죠? 올해도 오나요? [1] file 쿨가이 2022.12.14 290
79 미국 CPI 7.1%! 비트 가즈아!!!! 뽐뿌에서왔습니다 2022.12.13 505
78 [강좌]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기술적 분석법 : 다우이론 file 차티스트 2022.12.13 324
77 이번주 주요일정(12.12 ~ 12.16) [1] 쿨가이 2022.12.12 281
76 미성년자 주식 보유 순위ㄷㄷㄷ.jpg [1] file 쿨가이 2022.12.12 188